연봉별 근로자 근로소득세율과 절세 전략
300x250
직장인이라면 매달 급여 명세서에서 빠져나가는 근로소득세가 궁금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왜 이렇게 많이 떼지?”라는 생각이 들 때, 세율 구조와 절세 방법을 제대로 알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근로소득세는 연봉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자신의 연봉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와 절세 전략을 함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별 근로자 근로소득세율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절세 전략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올해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아끼고 싶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1. 근로소득세율이란?
근로소득세율은 직장인의 급여(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의 비율을 말하며,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즉, 소득이 많아질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전 구간이 동일하게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구간별 세율로 나뉩니다.
2. 2025년 근로소득세율표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400만 원 이하 | 6% | - |
1,400만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126만 원 |
5,000만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576만 원 |
8,800만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1,544만 원 |
1억 5천만 초과 ~ 3억 원 이하 | 38% | 1,994만 원 |
3억 초과 ~ 5억 원 이하 | 40% | 2,594만 원 |
5억 초과 ~ 10억 원 이하 | 42% | 3,594만 원 |
10억 초과 | 45% | 6,594만 원 |
3. 연봉별 세율 및 세금 계산 예시
※ 4대 보험료 제외, 단순 계산 예시
- 연봉 3,000만 원 → 세금 약 120~150만 원
- 연봉 5,000만 원 → 세금 약 300~350만 원
- 연봉 8,000만 원 → 세금 약 600~700만 원
- 연봉 1억 원 → 세금 약 1,000만 원 이상
4. 절세 전략 5가지
-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
- 신용카드·체크카드 공제: 총급여 25% 초과분 공제
- 의료비·교육비·기부금 세액공제 챙기기
- 맞벌이 부부 소득공제 배분 최적화
- 회사 복지제도 활용 (자녀학자금, 식대비 비과세 등)
5. 마무리
근로소득세율은 단순히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내 연봉과 소비·투자 계획을 세우는 기준이 됩니다.
올해는 세율 구조를 이해하고, 미리 절세 전략을 실천해 연말정산에서 기분 좋은 환급을 받아보세요.
300x250
'재테크, 부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후 퇴직금, 퇴직연금 계산 방법 (+평균임금, 근속기간) (3) | 2024.12.26 |
---|---|
주택 연금 계산기 : 가입 조건 및 수령액 계산 방법 (1) | 2024.12.16 |
가정용 태양광 설치로 전기 요금 절감하세요! (0) | 2024.12.11 |
분당 선도지구 분담금, 평형별 분담금 정리! (0) | 2024.11.29 |
애드센스 방문자 별 실제 수익, 월 100만원 가능할까? (3) | 2024.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