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봉별 근로자 근로소득세율과 절세 전략

디노워킹맘 2025. 8. 11.
300x250

직장인이라면 매달 급여 명세서에서 빠져나가는 근로소득세가 궁금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왜 이렇게 많이 떼지?”라는 생각이 들 때, 세율 구조와 절세 방법을 제대로 알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근로소득세는 연봉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자신의 연봉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와 절세 전략을 함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별 근로자 근로소득세율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절세 전략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올해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아끼고 싶다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근로자 근로소득세율

 

1. 근로소득세율이란?

근로소득세율은 직장인의 급여(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의 비율을 말하며,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즉, 소득이 많아질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전 구간이 동일하게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구간별 세율로 나뉩니다.

 

2. 2025년 근로소득세율표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초과 ~ 5,000만 원 이하 15% 126만 원
5,000만 초과 ~ 8,800만 원 이하 24% 576만 원
8,800만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35% 1,544만 원
1억 5천만 초과 ~ 3억 원 이하 38% 1,994만 원
3억 초과 ~ 5억 원 이하 40% 2,594만 원
5억 초과 ~ 10억 원 이하 42% 3,594만 원
10억 초과 45% 6,594만 원

 

 

3. 연봉별 세율 및 세금 계산 예시

근로자 근로소득세율

※ 4대 보험료 제외, 단순 계산 예시

  • 연봉 3,000만 원 → 세금 약 120~150만 원
  • 연봉 5,000만 원 → 세금 약 300~350만 원
  • 연봉 8,000만 원 → 세금 약 600~700만 원
  • 연봉 1억 원 → 세금 약 1,000만 원 이상

4. 절세 전략 5가지

  1.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
  2. 신용카드·체크카드 공제: 총급여 25% 초과분 공제
  3. 의료비·교육비·기부금 세액공제 챙기기
  4. 맞벌이 부부 소득공제 배분 최적화
  5. 회사 복지제도 활용 (자녀학자금, 식대비 비과세 등)

근로자 근로소득세율

5. 마무리

근로소득세율은 단순히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내 연봉과 소비·투자 계획을 세우는 기준이 됩니다.
올해는 세율 구조를 이해하고, 미리 절세 전략을 실천해 연말정산에서 기분 좋은 환급을 받아보세요.

 

 

300x250

댓글